목표
- 1. 화장품·천연물산업 현장실무 역량 강화
- 2. 화장품·천연물산업 글로벌 역량 강화
- 3. 화장품·천연물산업 핵심기술 개발
- 4. 화장품·천연물산업 인적·물적 네트워크 강화
대과제
좌우로 이동이 가능합니다.
화장품·천연물산업 대과제
화장품·천연물산업에 대해 지역 맟춤형 인력양성,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, 산학 네트워크 혁신을 표로 안내합니다.
화장품·천연물산업 지역 맞춤형 인력양성 |
화장품·천연물산업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 |
화장품·천연물산업 산학네트워크혁신 |
[소과제] |
[소과제] |
[소과제] |
- 현장실무인재 및 연구전문인재 양성 체계 구축
(인턴십, 현장실습, 프로젝트랩)
- 산업기술 전문인재양성
(취창업 활성화, 전문자격증, K-뷰티아카데미)
- 미래인재 양성 체계 구축 (고교학점제)
- 재직자 재교육 (RPL 특성화프로그램)
|
- 산업체 수요기반 산학융합 R&D
- 신기술 개발 역량 강화
(개인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제조기술 개발)
- 국제분쟁 문제 해결 기술 개발
(충북 자생 생물 천연 신소재 확보 기술 개발)
|
- 원스톱 플랫폼 구축
- 학술 교류네트워크 구축
- 창업 네트워크 구축
- 취업 네트워크 구축
- 기업수요조사 및 컨설팅
|
좌우로 이동이 가능합니다.
화장품 및 천연물산업의 대과제 중 정량목표
화장품 및 천연물산업의 대과제에 대한 긱 지역 맟춤형 인력양성,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, 산학 네트워크 혁신에 대한 정량목표와 화장품 및 천연물 교육혁신을 안내합니다.
정량목표 |
정량목표 |
정량목표 |
- 현장실무인재 230명/년
- 연구전문인재 200명/년
- (비교과)창의인재 350명/년
- 현장실무인력증가 100명/년
연구전문인력 추가공급 80명/년
|
- 산학융합 R&D 30건/년
- 핵심기술개발 8건/년
- 연구참여인력 250명/년
- 논문 · 특허 증가 10%/년
기술이전상품화 10%/년
|
- 창업수 증가 10%/년
애로기술해결수 증가 10%/년
|
화장품·천연물산업 교육혁신 |
- 공동 대학원교육 체계 구축 (충북 미네르바형 오송 바이오텍)
- 현장실무중심 인재양성 (K-뷰티아카데미, K-뷰티 글로벌교육센터 운영)
- 글로벌 현장실무인재 양성(충북 자생식물 원료 표준화, 국제화 달성, 나고야 의정서 대비, K-뷰티 산업의 세계화)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