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표
- 1. 정밀의료 · 의료기기 현장실무 역량 강화
- 2. 정밀의료 · 의료기기 글로벌 역량 강화
- 3. 정밀의료 · 의료기기 기술 혁신
- 4. 정밀의료 · 의료기기 산학네트워크 강화
대과제
좌우로 이동이 가능합니다.
정밀의료 · 의료기기 대과제 정밀의료 · 의료기기에 대해 지역 맟춤형 인력양성,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, 산학 네트워크 혁신을 표로 안내합니다.
정밀의료 · 의료기기 지역 맞춤형 인력양성 | 정밀의료 · 의료기기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 | 정밀의료 · 의료기기 산학네트워크혁신 |
[소과제] | [소과제] | [소과제] |
- 융합형 현장실무인재 양성 체계 구축
(인턴십, 현장실습, 프로젝트랩)
- 글로벌 전문인재 양성 체계 구축
(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)
- 미래인재 양성 체계 구축
(고교학점제 ·프리칼리지)
- 산업현장과 동일한 첨단 교육 연구장비 구축
- 비교과과정 운영
|
- 지역산업 제품화 역량 강화
(제품화 역량 강화, 전주기 신속 제품화 지원)
- 사회현안과제 신속해결기술개발 강화
(감염병, 유해 미생물 신속진단 플랫폼 기술)
- 미래산업 핵심기술 개발역량 강화
(혁신 의료기기 선도기술, 산학융합 R&D)
|
- 인적물적자원 네트워크 구축
- 병원-산업체 연계 플랫폼 구축
- 품질관리 및 의료기기규제과학 전문가 양성 체계 구축
- 감염병 대응 질환 예측/ 진단 기트 개발 체계 구축 및 의료기기 공동제조 플랫폼 구축
- 창업생태계 육성
- 취업 네트워크 구축
- 기업 수요조사 및 컨설팅
|
좌우로 이동이 가능합니다.
정밀의료 · 의료기기의 대과제 중 정량목표 정밀의료 · 의료기기의 대과제에 대한 긱 지역 맟춤형 인력양성,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, 산학 네트워크 혁신에 대한 정량목표와 정밀의료 및 의료기기 교육혁신을 안내합니다.
정량목표 | 정량목표 | 정량목표 |
- 현장실무인재 221명/년
- 연구전문인재 60명/년
- (비교과)창의인재 193명/년
- 현장실무인력증가 100명/년
연구전문인력 추가공급 80명/년
|
- 산학융합 R&D 14건/년
- 핵심기술개발 8건/년
- 제품화 지원 55건/년
- 애로기술해결 20건/년
- 논문 · 특허 증가 10%/년
기술이전상품화 10%/년
|
- 플랫폼 구축 6건/년
- 현장실무교육 100명/년
- 창업교육 50명/년
- 창업수 증가 10%/년
애로기술해결수 증가 10%/년
|
정밀의료 · 의료기기 교육혁신 |
- 공동 대학원교육 체계 구축 (충북 미네르바형 오송 바이오텍)
- 학제간 융합 (바이오헬스와 인공지능, 빅데이터, IOT, BT, IT 등)
- 전문 고급인재양성 (동물바이오헬스, 한방 정밀의료 등)
- 충북지역 바이오산업 혁신 교육생태계 구축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