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표
- 1. 제약바이오산업 현장실무 역량 강화
- 2. 제약바이오산업 연구 역량 강화
- 3. 제약바이오산업 핵심기술 개발
- 4. 제약바이오산업 인적·물적네트워크 강화
대과제
좌우로 이동이 가능합니다.
제약바이오 산업 대과제
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해 지역 맟춤형 인력양성,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, 산학 네트워크 혁신을 안내합니다.
제약바이오산업 지역 맞춤형 인력양성 |
제약바이오산업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 |
제약바이오산업 산학네트워크혁신 |
[소과제] |
[소과제] |
[소과제] |
- 현장실무인재 및 연구전문인재 양성 체계 구축
(인턴십, 현장실습, 프로젝트랩)
- 글로벌인재 양성 체계 구축
(충북 미네르바형 오송바이오텍)
- 미래인재 양성 체계 구축 (고교학점제)
- 방사광가속기, 바이오인공지능 등 교육연구장비 구축
- 첨단 교육연구인프라 구축
|
- 산업체 수요기반 산학융합 R&D
- 충북형 사회문제해결기술 개발
(감염 및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폐질환 등)
- 충북형 바이오신약 원천기술개발
(세포치료제, 항체의약품 등)
- 제약바이오 미래기술 개발역량 강화
(바이오인공지능, 단백질구조 기반 신약개발)
|
- 인적자원 네트워크 구축
- 물적자원 네트워크 구축
- One-Stop Online 정보 플랫폼 구축
- 제약바이오 재직자 재교육 체계 구축
- 제약바이오 취업준비생 재교육 체계 구축
- 창업생태계 육성
|
좌우로 이동이 가능합니다.
제약바이오 산업 대과제 중 정량목표
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해 지역 맟춤형 인력양성, 핵심기술개발 및 기업지원, 산학 네트워크 혁신에 대한 정량목표와 정밀의료 및 의료기기 교육혁신을 안내합니다.
정량목표 |
정량목표 |
정량목표 |
- 현장실무인재 200명/년
- 연구전문인재 200명/년
- (비교과)창의인재 200명/년
- 현장실무인력증가 100명/년
연구전문인력 추가공급 80명/년
|
- 산학융합 R&D 200명/년
- 핵심기술개발 22건/년
- 연구참여인력 350명/년
- 논문 · 특허 증가 10%/년
기술이전상품화 10%/년
|
- 창업 교육 100명/년
- 재교육 200명/년
- 미래기술 교육 20명/년
- 창업수 증가 10%/년
애로기술해결수 증가 10%/년
|
제약바이오 교육혁신 |
- 공동 대학원교육 체계 구축 (충북 미네르바형 오송 바이오텍)
- 화합물신약, 세포치료제, 항체치료제, 감염병 관련 전문 교육을 통한 연구전문인재양성
- 예측 난이한 감염병으로 인한 미래 위기 대비 감염병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고등교육 혁신
|
|